
오늘은 바라요 바래요 맞춤법에 대해서 자세하게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려 해요. 평소에 잘 사용하지 않는 단어들은 물론이고 자주 사용하는 단어들도 헷갈리는 경우가 많죠.
특히 우리나라 말의 경우 한 끗 차이로 뜻이 전혀 달라지는 경우가 많다 보니 주의가 필요해요. 중요한 자리에서 사용을 하는 말이나 공식적인 보고서 등에 맞춤법이 안 맞는다면 곤란할 수 있겠죠.
그래서 정확한 맞춤법 예시와 함께 바라요 바래요는 어떠한 원리로 표준어가 되는지 등을 확인해 보도록 할게요.

바라요 바래요 의미와 어원
그럼 본격적으로 바라요 바래요 의미와 함께 어원에 대해서 확인을 해보도록 할게요. 먼저 바래요와 바라요의 정의를 살펴볼게요.
바래요는 '바라다' 의 활용형으로 어떤 것을 원하거나 기대하는 뜻을 가지고 있어요. 반면에 바라요는 '바라다' 의 존댓말 형태로 상대방에게 공손하게 원하는 바를 표현할 때 사용해요.
바라다는 '바라' 라는 어근에 '- 다 ' 라는 동사 어미가 붙어 만들어진 단어로 바라는 '원하다' 라는 뜻을 가지고 있어요.
따라서 바래요는 '바라다' 의 변형으로 바라다의 의미를 그대로 유지하고 있죠.

바라요 바래요 맞춤법 확인
그렇다면 정확한 바라요 바래요 맞춤법에 대해서 확인을 해볼텐데요. 결론부터 말하자면 바라요가 올바른 표현이자 표준어라고 할 수 있어요.
자동으로 바래요의 경우 잘 못된 표현이며 표준어가 아니라 할 수 있는데요. 그렇기에 공식적인 자리의 대화나 문서에서 뿐만 아니라 일상 대화에서도 바라요로 사용을 해야 하겠죠.
바라다의 존댓말 형태로 다른 형식으로도 사용을 할 수 있는데요. 대표적으로 바램이 아닌 바람, 바랩니다가 아닌 바랍니다로 사용을 할 수 있죠.

바라요 예시 문장 알아보기
이렇게 바라요 바래요 중 무엇이 올바른 표현인지에 대해서 자세하게 알아보았는데요. 그럼 오래 기억을 하기 위해서 예시 문장도 함께 알아두면 좋죠.
1. 내일 수학여행을 가는데 비가 내리지 않길 바라요.
2. 너의 바람이 꼭 이루어지길 기도할게.
3. 당신의 내조 덕분에 우리가 바라는 내집 마련에 성공했네.
4. 올 한해 만사형통 하시길 바랍니다.
5. 올해 바람이 있다면 날 닮은 아기가 생겼으면 합니다.
이렇게 일상 생활에서 많이 사용을 하는 문장을 통해서 알아볼 수 있는데요. 아무래도 자주 사용을 하는 단어이다 보니 더이상 헷갈리지 않게 정리를 해두면 좋을 듯 해요.
'어학의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수씨 재수씨 맞춤법 알아보기 (0) | 2025.01.12 |
---|---|
며칠 몇일 맞춤법 예시 확인해보기 (0) | 2025.01.09 |
재작년 제작년 맞춤법 알아보기 (0) | 2025.01.08 |
떼다 때다 뜻 맞춤법 확인해보기 (0) | 2025.01.07 |
뺏다 뺐다 뜻과 예시 알아보기 (0) | 2025.01.07 |